반응형
혼동 행렬 (Confusion Matrix)는 True Positive, False Positive, False Negative, True Negative 4가지 경우로 나타내는데,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도구입니다.
📌 두 가지 질문으로 예측 결과 구분하기
아래 두 질문만 있으면 헷갈릴 일 없습니다!
✅ 질문 1: 모델의 예측이 실제와 일치하는가?
- 맞다 → True (진짜)
- 틀리다 → False (거짓)
✅ 질문 2: 모델이 예측한 분류는 무엇인가?
- Positive → 예측 결과가 ‘고양이’ (또는 ‘긍정’)
- Negative → 예측 결과가 ‘강아지’ (또는 ‘부정’)
📊 이 두 질문으로 결과를 구분해보자!
모델의 예측이 맞았는가? 예측한 분류는? 결과 유형 설명
맞음 (True) | Positive | True Positive (TP) | 실제 고양이를 고양이라고 예측 |
맞음 (True) | Negative | True Negative (TN) | 실제 강아지를 강아지라고 예측 |
틀림 (False) | Positive | False Positive (FP) | 실제는 강아지인데 고양이라고 예측 |
틀림 (False) | Negative | False Negative (FN) | 실제는 고양이인데 강아지라고 예측 |
🧠 예시로 다시 확인해볼까요?
예시 1:
- 실제 동물: 고양이
- 모델의 예측: 강아지
- 👉 질문1: 맞았나? ❌ 틀림
- 👉 질문2: 뭘 예측했나? 강아지(Negative)
- 🔍 정답: False Negative
예시 2:
- 실제 동물: 강아지
- 모델의 예측: 고양이
- 👉 질문1: 맞았나? ❌ 틀림
- 👉 질문2: 예측은? 고양이(Positive)
- 🔍 정답: False Positive
예시 3:
- 실제 동물: 고양이
- 모델의 예측: 고양이
- 👉 질문1: 맞았나? ✅ 맞음
- 👉 질문2: 예측은? 고양이(Positive)
- 🔍 정답: True Positive
예시 4:
- 실제 동물: 강아지
- 모델의 예측: 강아지
- 👉 질문1: 맞았나? ✅ 맞음
- 👉 질문2: 예측은? 강아지(Negative)
- 🔍 정답: True Negative
🔚 정리 문장
✅ “모델이 맞췄는지 확인해서 True/False를 정하고,
✅ 예측한 결과가 무엇인지 보고 Positive/Negative를 정하자!”
이 기준만 머릿속에 넣어두면, 어떤 문제든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어요.
반응형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로그스팟(Blogger)에 가비아(Gabia)에서 구매한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(서브도메인) 연결 (0) | 2025.07.06 |
---|---|
전국민25만원 소비쿠폰 지급확정! 신청부터 활용까지 한번에 (4) | 2025.06.25 |
전국민민생지원금 소비쿠폰 25만원, 계층별 지급액과 신청방법 총정리 (7) | 2025.06.22 |
🔮 2025년 6월 23일 오늘의 운세 (음력 5월 28일, 일진: 계해) (1) | 2025.06.22 |
마크다운 쉽게 제거하는 방법 베스트 5 (2) | 2025.06.10 |